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헝다그룹 파산위기

by @&㉾®№\ 2021. 10. 22.

헝다그룹은 2021년 9월 헝다그룹의 부채 리스크가 부채 추산 규모 360조 원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다는 것이 드러나며 파산위기에 몰렸다. 중국 경제에서 부동산 건설 개발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데 이 부동산 개발로 크게 성장한 그룹이 바로 헝다이기 때문에 실제 파산으로 이어진다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헝다그룹은?

헝다그룹은 중국 3대 부동산 건설사로 불리는 회사로 중국 280여개 도시에 1,300여 개가 넘는 건설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고 1,200만이 넘는 업주에게 부동산을 제공 중인 중국 내 규모 2위의 부동산 개발 회사이다. 2021년 기준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리스트 중 122위를 기록했다. 전체 직원은 25만 명에 달하고 부동산 산업 외 전기차, 생수, 테마파크, 식료풍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해 있다.

 

헝다그룹 파산위기

헝다그룹의 위기는 차입경영 및 문어발식 확장이 원인이긴 하지만 주 원인은 2020년부터 중국 정부의 부동산 기업에 대한 대출규제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정국 정부는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부동산 기업들의 행태를 규제하면서 집값 상승이 중 서민층의 불만을 누적시키고 이것이 현 정부에 대한 지배체제에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여 부동산 기업들의 확장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정부 규제로 인해 부동산 관련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공격적 확장 경영을 하던 헝다그룹은 2020년 말 기준 총부채가 약 360조원에 이를 정도로 치솟았는데 이는 중국 국내총생산의 2%에 이를 정도이다.

 

파산위기 극복은 아직 먼 상황

헝다그룹은 20일 자회사인 헝다물업 지분 매각을 통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려고 했으나 이 계약은 무산되었고 홍콩 지역의 건물 매각, 성징 은행 지분 등 여러 자산을 매각하려고 시도했으나 번번이 실패하고 있는 상황이다.

 

헝다그룹은 23일 유예기간이 만료되는 달러채권의 이자 8350만 달러(약 983억)를 입금하면서 당장의 디폴트는 면한 상황이다. 그러나 30일 1425만 달러, 11월 8일 8249만 달러, 12월 28일 2억 5220만 달러 등 달러채권 이자 만기를 줄줄이 앞두고 있어서 파산으로 벗어나려면 한참의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댓글